
저는 루프트한자 승무원으로 약 11년 간 일을 하고 있어요. 외항사에서 일을 하기때문에 국내 항공사의 실정은 잘 모르지만
승무원이라는 직업을 오랜 한 경험으로 이 일의 전반적인 장 단점을 써보려고 해요. 아무래도 외항상 승무원 일의 장, 단점이 되겠네요. 승무원이라는 직업을 준비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먼저 좋은 점에 대해서 부터 말 해보지요!
1. 세계의 여러 곳을 여행 할 수 있다!
이 건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고, 승무원이라는 직업의 가장 큰 매력이지요. 저는 Resonal Crew 즉 한국과 독일 사이만 비행을 하기때문에, 이 경우는 제 경우는 아니지만, 보통의 승무원들은 그 항공사의 취향지를 여행 할 수 있지요. 대부분의 항공사가 인기있는 도시, 런던, 파리, 시드니, 방콕, 바로셀로나, 등등이 취향지이기때문에, 이런 곳들을 비행 후 관광을 할 수 있어요.
돈도 벌면서, 호텔방도 제공 받고, 심지어는 체류비까지 주니 사실 1석 3조이지요!!
2. 야근이 없다!
물론 승무원이라는 직업은 밤이나 낮이나 비행이 있을 떄, 일 하는 직업이어서 밤에도 일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지요.
그런데 제가 말씀 드리고 싶은 것은 승무원이라는 일이 서비스 업이기 때문에, 비행이 끝나면, 더 이상 신경 쓸 일 이 없지요. 모든 일은 비행기를 타면서, 시작하고, 비행기를 내리면서 끝이 나요. 집에 가지고 와야 되는 일, 데드 라인이 없다는 것이지요.
직장인으로 이 건 정말 큰 장점인 거 같아요. 일을 떠나면 더 이상 일에 대해서 걱정을 안 해도 된다는 거요!
3. 매일 일을 안 해도 된다!
다른 직장 인들 처럼 매일 출, 퇴근을 안 해도 됩니다.
비행이나 트레이닝이 있을 때만 비행을 가요. 저희 회사 같은 경우는 풀타임으로 일을 하면, 한 달에 3번 비행을 가고요.
저 같이 파트타임으로 일을 하면 한 달에 2번 비행을 가요. 비행을 안 가는 날은 쉬는 날이지요!!
그리고 출근 시간도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비행에 따라 출근 시간이 달라져서, 어느 날은 새벽같이 일을 해야 가야 하는 날도 있지만, 대부분은 늦은 오전이나 오후 쯤에 출근을 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리고, 주중에 일을 안 하는 경우가 많아서, 남들 일 할 때 놀 수 있어요! 주말에는 사람도 많고, 뭔가 복잡하잖아요.
주중에 쇼핑을 가거나, 카페를 가거나, 모든 게 여유롭답니다.
4. 상사 눈치는 비행 중에만 봐요!
외항사 같은 경우는 팀제가 아니라, 비행마다 사무장과 크루들이 모두 바껴요.
그래서, 사무장 눈치는 그 비행에서만 보면 되요!! 그런데 자기 일 열심히 하면, 사무장의 눈치를 볼 것도 없답니다.
사무장은 그 비행의 총 관리자로, 오히려 승객과 승무원 사이에 갈등이 생기거나, 비행기의 시스텝 등의 문제가 생겼을 떄
처리 해 주는 엄마 역할을 하지요.
그리고 팀원이 항상 바뀌기 때문에, 마음에 안 드는 동료와 또 일을 안 해도 된다는 장점도 있지요!
5.저렴한 비행기 값으로 여행이 가능해요!
자항공사나 협력을 하는 타항공사의 비행기 티켓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요. 티켓의 원 가격의 10프로 정도의 가격에 세금이 붙어서, 티켓의 약 30프로 정도 되는 가격으로 구입을 할 수 있답니다. 사실, 굉장히 큰 장점이지요. 해외 여행을 할 떄 보통운 제일 부담스러운 게 비행기 가격이니깐요. 그리고 저희 항공사 같은 경우는 비지니스 티켓도 구입이 가능해요!
한 가지 단점은 이 티켓이 스탠바이 티켓이어서, 비행기에 자리가 남았을 때만, 그 비행기를 탈 수 있다는 거에요. 아무래도 성수기에는 자리를 항상 받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아요. 그런데 비행기를 타기 전에 시스템을 통해 얼마나 많은 좌석이 남았는 지 볼 수 있어서, 이 부분은 어느정도 계획을 할 수 있는 부분이에요!
6. 외국에서 살 수 있어요!
저같은 경우는 어렸을 떄 부터 웬지 모르게 외국에 사는 것에 대한 동경이 있었답니다. 그리고 일을 통해 독일에 정착을 하게 되었지요. 한국 분들이 계신 외항사가 많잖아요. 중동 항공사들, 아시아 국들의 항공사들 같은 곳이요.
이 부분은 장점도 될 수 있고, 단점도 될 수 있는 것 같아요. 저 같은 사람한테는 외국에서 살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고,
향수병을 심하게 앓으시는 분들에게는 단 점이지요.
외국에서 살다보면 장점도 많지만, 헤쳐나가야 하는 것들도 많답니다.
7. 영어, 외국어의 실력을 늘일 수 있어요!
외항사에서 일을 하다보면, 동료와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지요. 그리고 비행이 끝난 후 여행지에 가서도 영어를 쓸 경우가 많아서, 영어의 실력이 늘어날 수 밖에 없어요.
그리고 저 같은 경우는 독일에서 살기때문에 독일어도 배울 수 있었어요. 외국어를 할 수 있다는 것! 참 좋은 것 같아요. 나와 다른 문화의 사람들과 직접 의사소통 할 수 있는 도구가 생긴 거니까요. 그만큼 다른 세상에 대해 더 배울 수 있답니다.
이렇게 많은 장점이 있지만, 또한 몇 가지 어려운 점들이 있답니다.
1. 시차 적응이 중요해요
비행을 시차가 다른 여러 곳으로 하거나 밤비행을 하다보면, 몸의 신체리듬이 깨져서, 숙면을 하지 못 하는 경우가 자주 생겨요. 사실 숙면을 하고, 자야 될 시간에 자는 건 건강에 중요하지요. 이 부분은 사실 승무원 직업의 가장 큰 단점인 것 같아요.
가끔은 비행 후 거의 자지도 못하고, 다시 비행을 해야 될때가 있어요. 거기다 비행기가 만석이면, 비행이 끝날 때 쯤이면 몸이 부서질 거 같이 아프답니다..
이런 부분때문에 평소에 충분한 휴식, 운동이나 명상으로 몸을 건강하게 유지 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저는 비행을 가지 않을 때는 일주일에 3번은 꼭 운동을 가려고 노력한답니다. 이 직업은 내 몸이 아파지면, 더 이상 못하는 일이거든요. 그래서 건강 관리는 필수랍니다!
2. 남 놀 때 일해야 해요..
이 부분은 승무원 일의 장점의 완전 반대 부분인데요. 장점 중 하나가 남들 일할 때 놀 수 있다는 거였어요. 이제 남들이 놀 때 일 해야하지요. 항상 그런건 아니지만, 주말이나 휴일에 비행이 나오면, 일을 해야한답니다. 물론 어느정도 비행을 request 할 수 있지만, 제가 바라는 대로 비행이 나오는 건 아니거든요.
가끔은 가족 행사에도 못 가는 경우가 생기고요. 그리고 다음 달 비행기 프랜이 나오기 전까지는 미리 계획을 세우는 것이 어렵답니다. 비행 스케줄에 맞춰서 제 개인일을 봐야 하는 경우가 많아요.
3. 엄마 승무원으로 일하기?
저는 아이가 두명이 있어요. 만 2살, 만 5살로 눈에 넣어도 안 아플 아이들을 떼어 놓고 비행을 가지요. 
다행이 저희 항공사는 파트타임 제도가 있고, 독일 법상 육아휴직을 3년까지 쓸 수 있어서, 육아를 하면서, 승무원으로 일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만, 다른 항공사들은 대부분 저희보다 비행을 자주 가시는 걸로 알고 있거든요. 그리고 파트타임 제도가 없는 경우도 많고요.
그래서 아이을 가지고 싶어 하시는 분들이 이 일을 그만 두시는 경우를 많이 아쉽게도 종종 봤답니다. 그래서 어떻게 보면 엄마가 되시고 싶은 분들은 계속 승무원 일을 하고 싶거나 또는 다른 일을 하는 워킹맘이 되시고 싶은 분들은 자기 커리어를 위한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셔야 될거에요.
4. 일을 통한 자기 발전이 어려워요.
승무원직은 서비스업이기때문에 사실 업무를 통해서 자기발전을 하기에 어려워요. 기내 서비스를 위한 일들은 몸만 건강하면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 거든요. 물론, 일 년에 한 번씩 비상시를 대비한 비행 교육을 받지만, 그런 부분은 너무도 다행히 이론상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지요. 우리는 비행기 사고를 바라지 않잖아요!!
그래서 서비스 업무의 틀에서 일을 하다보면, 사실 머리를 쓸 일이 많지 않아요. 그래서 뭔가 내가 도퇴대는 느낌이 들지요.
믈론 사무장이 되는 길을 통해, 승무원이라는 일 자체 안에서 커리어를 쌓을 수도 있기는 합니다. 아무래도 사무장이 되면, 서비스 자체 보다는 비행 총 관리자의 역할이 커지니, 그 만큰 책임이나 머리를 써야 할 부분이 생기겠지요.
이 점의 해결점은 다른 직업에 비해 개인 시간이 많은 편이니 일을 통해서 자기 발전을 찾지 말고, 개인적으로 자신을 개발시킬 수 있는 취미나 일을 만들어서, 그 욕구를 충족 시키는 것이 방법일 거에요.
이러한 장, 단점을 가진 직업인 승무원을 저는 10년이 지난 아직도 하고 있답니다.
왜냐고요?
해외 여행의 설레임으로 행복한 승객들, 비지니스 여행으로 약간은 피곤해 하시는 손님들을 여행의 시작, 또는 마지막에 안전하고 편안한 여행이 될 수 있게 책임을 지는 사람들이 저희 들이니까요. 저는 이 점에서 저의 직업에 보람을 느낀답니다.
이래서 저는 오늘도 비행기에 오르지요!


제 인스타그램에 놀러오세요!